41년 전(1968년 01월 21일) 북한 공작원이 청와대를 습격하기 위해 침투했던 북한산 우이령길이 다시 일반인에게 개방되면서 네티즌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앞서 북한산 우이령길은 1968년 1월 21일 북한 공작원 31명이 청와대를 습격하기 위해 이 길을 통해 침투한 뒤 이후 일반인 출입을 금지됐었다.
일반인에게 개방된 북한산 우이령길은 양주 교현리에서 서울 우이동까지 북한산 자락을 잇는 총 6.8㎞ 구간으로 한자말 뜻대로 소의 귀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소귀고개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이 고갯길을 우이동에서 시작하여 소귀고개를 넘어 오봉산 봉우리를 우측으로 오봉산 석굴암을 거쳐 양주시 교현리까지 걸어 보았다.
잘 닦여진 소로길은 서울지역은 약간의 비탈길이지만 부럭으로 정돈 되었고, 경찰 초소를 지나서부터는 마사토를 두툼하게 깔아서 맨발로 걷기에 아주 상쾌한 기분마져 느낄 수 있는 색다른 체험을 맛 볼 수 있는 좋은 산책길이 라고 생각된다.
(거리 6.8Km, 2시간~2시간30분 소요)
인터넷으로 미리 허가를 받은 사람들만을 통과.
우이령길 탐방 예약제 공고
북한산국립공원 우이령길의 자연생태계 보전 및 건전한 이용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이 탐방예약제를 실시.
1. 시행목적 : 북한산국립공원 우이령 구간의 자연 생태계 보전 및 건전한 이용문화 정착을 위한 제한적 탐방예약제 실시
2. 대상지역 : 북한산국립공원 우이령길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 ~ 경기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 4.46km
3. 운영시기 : 2009년 7월 27일부터 계속 (이용일 15일 전부터 인터넷 예약가능)
4. 운영방법 : 예약을 실시한 탐방객 대상으로 개방일 09:00~14:00까지 출입 허용
하산 완료시간 : 16:00까지
5. 운영인원 : 매일 780명 (송추방향: 390명, 우이방향: 390명, 일일제한인원 합:780명)
6. 예약방법 : 국립공원관리공단 홈페이지 인터넷 예약 (15일 이전부터)
7. 예약사이트 : 국립공원관리공단 홈페이지 (http://ecotour.knps.or.kr/)
※ 인터넷 예약후 예약확인증과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하시기 바랍니다.
8. 문 의 처 : 국립공원관리공단 탐방관리팀 (02) 3279-2814
걷기 여행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북한산 우이령길에 대해 관심이 많을 것이다.
만약 대단한 경치를 기대한다면 실망하기 십상이다.
경관이 아주 뛰어나지도 않고, 코스가 오밀조밀하지도 않다.
생각보다 짧고, 밋밋하다.
그냥 보통 평범한 산길이나 숲길이다.
우이령길은 느릿하게 걸으면서 자연을 호흡하겠다는 사람에게 어울린다.
우이령길의 최대 장점은 탐방객 수를 제한해서 호젓하게 다녀올 수 있다는 것.
가을철이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앞사람 엉덩이만 보며 올라가는 그런 산길이 아니라서 좋다.
우이령길은 서울 강북구 우이동에서 경기 양주시 교현리(송추)까지 4.46㎞다.
걷기 여행은 사실 자동차로부터 ‘해방’되는 여행.
굳이 차를 몰고 가는 것보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길엔 마사토를 뿌려놓았다.
길은 제법 넓었다.
탐방객은 많지 않았다.
호젓했다.
계곡은 있지만 철조망으로 막혀있다.
군작전지역이기 때문이다.
국립공원에선 발 담그는 것도 금지하는 곳이 많긴 하지만 접근조차 못하게 돼있으니 탐방객 입장에선 섭섭하다.
간혹 군부대 차량들이 산길을 오가곤 했다.
우이령길의 초입은 산길이라기보다는 임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안내문에는 한국전쟁 당시에 미군이 도로를 넓혔다고 적혀 있었지만 정작 사진에 나와있는 비문에는 1965년에 미군 공병대가 개통했다고 쓰여있다.
호수와 석굴암이 나타나는데 군부대 유격장이다.
석굴암도 신도증이 없는 사람은 출입할 수 없다.
북한산 앞골과 뒷골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다니던 우이령길이 막힌 것은 1968년 1월21일 김신조사건 후부터다.
북한 공작원 31명이 청와대를 습격하기 위해 우이령길을 타고 갔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우이령은 통제됐다가 지난 7월 초 41년 만에 일반에 개방된 것이다.
지난 40년 동안은 군사도로로만 허용됐다.
사람의 발길이 끊기면 자연스럽게 동식물들의 공간은 넓어지는 법이다.
역설적이지만 우이령길은 이렇게 ‘통제’되면서 가치를 주목받게 됐다.
까막딱따구리 같은 희귀동물들도 산다고 한다.
물론 탐방객과 이런 동물들이 마주칠 수 있는 확률은 극히 적다.
어쨌든 우이령길이 만약 차량통행이 허용됐다면 북악스카이웨이 같은 드라이브코스로 전락(?)했을 것이다.
우이령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북한산의 모습은 오봉이다.
다섯개의 새하얀 바위봉우리의 모습을 따서 지은 이름인데 운무에 가렸다 모습을 드러냈다 했다.
우이령길에선 눈보다 귀나 발에 더 신경을 쓰는 게 낫다.
새소리도 들어보고, 9월의 푸른 숲향을 맡아보는 게 좋다.
그게 걷기를 제대로 즐기는 방법이기도 하다.
길 중간쯤에는 신발을 벗고 맨발로 걸어보라는 안내판이 있었다.
비에 젖은 흙길에서 등산화를 벗고 걷는다는 게 즐거울까?
처음엔 내키지 않았지만 막상 걷다보니 기분이 좋다.
국내에 맨발 산행코스는 대전의 장동 삼림욕장과 순창의 강천산길이 있다.
황토를 지그시 밟고 걸을 수 있는 이런 길들에 비해 우이령길은 굵은 모래알 같은 게 발바닥에 밟힌다.
처음에는 조심스럽지만 조금 걷다보면 맨발 걷기도 재밌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걷기는 리듬이다.
크리스토퍼 라무르는 걷기를 음악이자 일종의 체육이라고 했다.
맨발 걷기의 리듬은 결코 빠르거나 성급할 수 없다.
음악으로 표현하면 라르고다.
라무르는 <걷기의 철학>에서 ‘느림이란 말은 참을 수 없을 만큼 관능적이다.
느린 것은 아름다우며 온전한 관망과 감상을 허용한다’고 썼다.
맨발로 걷다보면 땅에 있는 잎사귀 하나까지 신경쓰인다.
도토리도 나비도, 잠자리도 피해간다.
등산화처럼 마구 밟을 수 없다.
발바닥은 여리다.
라무르는 ‘걷는 사람은 겸허하다’고 썼다.
라무르는 ‘자신을 지배하는, 그리고 삼켜버릴 수 있는 자연의 가운데에서 스스로가 작다는 것을 느낀다’고 했다.
그래서 걷는 사람을 ‘흙의 사람’으로 규정했다.
겸허란 말은 흙을 뜻하는 후무스(humus)에서 나왔다고 한다.
해서 걷기는 밖을 내다보는 관광이 아니라 자아를 들여다보는 사색일 수 있다.
우이령 고개 정상에서는 대전차 방어벽을 만났다.
숲길 한가운데에도 전쟁에 대비한 이런 구조물을 세워야 했으니….
그저 씁쓸할 뿐이다.
우이령길은 산에서 ‘날아다니는 사람’에겐 어울리지 않는다.
첨단 등산장비도 필요 없다.
그저 슬금슬금, 딴청을 부리면서 마실다녀오듯 천천히 갈 만한 그런 길이다.